본문 바로가기
정부 지원금 & 현실 돈 정보

2025 서울시 청년 마음건강 바우처 총정리

by 차츰 2025. 5. 7.

 

2025 서울시 청년 마음건강 바우처 총정리
서울시 청년 마음건강 바우처

마음이 무너질 때, 병원비가 무섭다면? 서울시가 대신 내준다고요?

 

"요즘 진짜 너무 힘들다…"
"병원 가보고 싶은데 상담비가 너무 비싸…"
"정신과 가면 기록 남는 거 아닐까 걱정돼서 그냥 참아요"

 

이런 말, 주변에서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거예요.

특히 청년들에게 정신건강 문제는 더 이상 드문 일이 아닙니다.
하지만 병원비, 상담비, 기록에 대한 불안 때문에 막상 도움받기 어려운 현실이죠.

그래서 서울시가 2024년부터 시작한 정책이 바로 청년 마음건강 바우처 지원사업입니다.
다행히 2025년에도 지속적으로 운영 중이며, 병원 상담비 최대 48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해당 제도에 대해 쉽고, 정확하게 정리해 드립니다.


1. 어떤 제도인가요?

서울시 청년 마음건강 바우처 지원사업은 서울에 거주하는 청년들이
정신건강에 어려움을 느낄 때, 상담 서비스를 무료 또는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바우처를 제공하는 정책입니다.

 

✅ 정신과나 심리상담소를 찾는 것이 더 이상 돈 문제로 막히지 않도록 돕는 제도예요.

항목 내용
공식 명칭 서울시 청년 마음건강 바우처 지원사업
지원 대상 만 19세 ~ 39세 서울시 거주 청년
지원 내용 1회 6만 원 × 총 8회 = 총 48만 원 상당의 상담 지원
사용처 서울시 지정 전문 심리상담 기관
지원 기간 2025년 12월 31일까지 연중 상시 신청 가능

2. 누가 신청할 수 있나요?

2025년 기준 신청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항목   자격 조건
나이 만 19세 이상 ~ 39세 이하
거주 서울시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자
소득 제한 없음 (소득 무관)
제한 사항 현재 정신건강의학과 치료 중이거나 약물복용 중인 경우 일부 제한 가능성 있음

3.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청년 마음건강 바우처는 총 8회의 심리상담 비용을 지원합니다.
한 회당 최대 6만 원, 총액 48만 원입니다.

구분 금액 횟수 총 지원액
심리상담 바우처 6만 원 8회 48만 원

 

💬 일부 상담소는 1회 비용이 8~10만 원이므로, 본인 부담금 24만 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신청 방법은요?

서울시 복지포털을 통해 간단히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항목 내용
신청 방법 https://youth.seoul.go.kr에서 온라인 신청
필요서류 없음 (본인 인증만으로 가능)
신청 기간 2025년 12월 31일까지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 가능)
상담 이용 기간 선정 후 6개월 이내 상담 시작

 

💡 신청 후 1~2주 내에 선정 여부 문자 안내가 오며, 이후 안내된 상담 기관에서 예약 후 사용 가능합니다.


5. 자주 묻는 질문

Q. 꼭 상담을 8회 다 받아야 하나요?
→ 아니요. 1회만 받아도 되며, 사용하지 않은 바우처는 소멸됩니다.

 

Q. 상담 기록은 남나요?
심리상담은 병력 기록으로 남지 않으며, 비의료 기관 중심으로 운영됩니다.

 

Q. 상담사는 전문 자격자일까요?
→ 서울시가 지정한 공인 심리상담사 자격자입니다. 심리학 전공 석사 이상 보유자가 대부분입니다.


마무리: 마음이 힘들다면, '나 혼자' 버티지 마세요

누구에게나 삶의 무게는 버겁게 다가올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그걸 혼자 견디기보다, 도움을 받을 수 있다면 지금이 그 첫걸음이 되어야 합니다.

서울시 청년 마음건강 바우처는 ‘병원 갈 돈이 없어서’ 포기했던 이들을 위한 제도입니다.
지원은 있으나, 신청하지 않으면 ‘없는 제도’와 마찬가지입니다.

 

마음이 무너지는 순간,
누군가 "괜찮아, 우리가 도와줄게"라고 말해주는 게 바로 이런 정책이 아닐까요?

 

🧠💙 2025년 12월 31일까지, 지금 바로 신청해 보세요.

📍 신청: https://youth.seoul.go.kr